<p></p><br /><br />탄소중립 정책으로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면서, 전국 곳곳에 풍력발전기도 우후죽순 늘어났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마을의 애물단지가 되기도 합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정다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정다은 기자] <br>제주도는 2030년까지 도내 모든 전력수요를 신재생에너지로 채우는 걸 목표로 삼고 있는데요. 하지만 제 뒤로 보이는 풍력발전기는 수시로 발전을 멈춰야 하는 게 현실입니다. 그 이유는 뭘까요, 현장으로 갑니다.<br> <br>풍력발전기를 멈출 수밖에 없는 이유, <br> <br>지금도 수요보다 많은 에너지가 생산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전력 공급망에 수요를 넘는 전력량이 들어오게 되면 대규모 정전사태, 광역 정전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. <br> <br>[김영환 / 전력거래소 제주지사 본부장] <br>"모든 에너지는 생산된 만큼 반드시 소비돼야 합니다. 우리가 사용하는 전력을 초과해서 공급하면 전력계통이 붕괴됩니다." <br><br>풍력이나 태양광처럼 신재생발전 설비가 우후죽순으로 들어서면서, 발전을 멈추는 출력 제어 조치는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.<br> <br>제주도의 경우 지난해 전력량의 80%는 육지에서 오는 전기나 전통적인 발전 방식, <br> <br>20%는 풍력과 태양광으로 충당했습니다. <br> <br>풍력과 태양광의 발전량이 일정치 않다보니 무작정 늘릴 수도 없는 상황. <br> <br>[김영환 / 전력거래소 제주지사 본부장] <br>"지난해 우리가 사용한 전력량의 20%를 풍력·태양광 설비에서 공급됐는데요. 비용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지금 당장은 많이 저장할 수는 없고요." <br> <br>초과 생산된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시설과 육지로 보낼 수 있는 전송망이 부족하다보니 발전을 중단하는 상황이 생기는 겁니다.<br> <br>발전기가 무용지물이 된 사례도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 2011년부터 부산 수영구에 세워졌던 풍력발전기 일부는 프로펠러가 아예 떨어져 나갔습니다. <br> <br>[정다은 기자]<br>고장 난 채 이곳에 방치돼 있던 소형 풍력발전기 8대는 결국 지난 2월 모두 철거됐습니다.<br><br>[부산 수영구청 관계자] <br>"5~6년 쓰다가 고장났는데 수리가 안 돼요. 그 (발전기) 회사가 망했다네요. 유지관리비, 안전(우려), 발전량도 미미해서 폐기하기로 결정(했습니다)." <br> <br>지자체마다 앞다퉈 신재생에너지 시설을 늘리는 상황. <br> <br>건설 예정지에서는 주민들의 반발도 거셉니다. <br> <br>[이운성 / 청사포해상풍력 반대대책위 위원장] <br>"배가 시동걸면 새벽에는 저기(주거지역)까지 윙 소리가 들리거든요.풍력 9개가 들어서면 무조건 저주파 소리가 들린다고." <br> <br>[천대원 / 부산 신암 어촌계장] <br>"풍력단지로 조성된 지역은 항해 금지구역이 돼버려요. 이건 어민들 죽으라는 거예요." <br> <br>재생에너지를 늘리기 전에 시장 여건부터 조성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. <br> <br>[전영환 / 홍익대 전기공학부 교수] <br>"재생에너지 선진국은 (전력) 시장제도가 이미 갖춰져 있어요. 제도적인 측면에서도 (초과발전) 문제가 해결이 되고 있는데." <br> <br>에너지 전환 정책에 재점검이 필요한 시점입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정다은입니다.<br> <br>PD : 김남준 장동하<br /><br /><br />정다은 기자 dec@donga.com